https://www.acmicpc.net/problem/20303 유니온 파인드(Union-Find)와 다이내믹 프로그래밍(DP)을 이용하는 것이 큰 틀입니다. 처음에 DP를 사용하지 않고 문제를 풀어갔는데, 친구 그룹이 꼭 하나란 보장이 없기에 DP를 사용해야 되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ex. K = 8, 각각 3명, 4명씩 친구인 그룹의 총 사탕 합이 최대일 수 있음) 1. 아이들이 가지는 사탕 개수 배열, 유니온 파인드의 부모 배열, 루트를 중심으로 그룹에 속한 아이들의 수를 저장하는 사이즈 배열, 최대 사탕 수를 저장하는 dp 배열을 생성합니다. 2. 친구 관계를 입력받을 때마다 유니온 파인드를 통해 아이들의 관계를 정리합니다. 이때 하위 그룹을 귀속할 때 상위 그룹의 루트에 하위 그룹의 사..